카테고리 보관물: 세계경제

지리상 대발견의 세계사적 의의는 무엇일까

지리상의 대발견은 여러측면에서 세계경제사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무엇보다 교역망이 주요 대륙들을 대부분 포함하는 수준으로 확대되었고, 교역규모가 크게 신장되었다. 이 시기 이전에도 대륙 간 교역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교역로가 제한적이었고 교역량도 상대적으로 적을 수 밖에 없었을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이시기에 와서야 유럽, 아프리카, 아메리카를 잇는 삼각무역체제가 성립 되었다는 사실, 그리고 이러한 국제적 무역체제가 신작물과 노예라는 새로운 상품을 대규모로 거래하기 위하여 형성되었다는 점은 매우 중요한 사실이었다.

세계를 구성하는 지역들이 중심과 주변부로 차별화되고, 이들 간에 존재하는 체계적 분업질서가 작동하는 시스템을 세계경제체제라고 부르며 이 체제가 지구상의 넓은 지역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이 지리상의 대발견에 이은 식민지 개척을 통해서라고 한다. 이 경우에는 어떤 지역이 세계경제의 범위에 속해 있는지 아닌지는 지리적 위치가 아니라 국제적 분업체계에 포함이 되어 있는지 그렇지 않으면 그 외부에서 단지 부차적인 교역관계를 맺고 있는가에 달려 있었을 것이다.

지리상의 대발견이 초래한 가장 중대한 변화를 유럽의 생물학적 팽창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었다. 유럽인과 동식물, 미생물 등이 생태적 사회적으로 수천년간 불리되었던 아메리카와 오세아니아로 옮겨감으로써 인류역사에 큰 변화를 야기하였다. 실제 생물학적 이동은 유럽에서 신대륙으로만 아니라 신대륙에서 유럽으로도 이루어졌으며, 정확하게 말하자면 이 시기는 생물학적 혼합이 발생한 시기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 과정은 신대륙에게 재앙적인 인적손실과 물적피해를 초래 하였을것이다. 식민지배자 유럽인과 아프리카 노예의 대규모 이주와 서구 시장에서 인기를 끌 작물의 대량재배가 이루어졌다. 서구 사회에는 기후적응력이 뛰어난 아메리카의 작물들이 전해지게 되었고, 이는 점차 동양과 아프리카로도 전파되었다. 틀히 아메리카에서 전해진 감자와 옥수수는 기후와 토질에 대한 적응력이 몹시 커 인류의 경작지 한계를 크게 넓히며 그 당시 지구 전체의 인구부양능력을 매우 증대시키게 되었던 것 같다. 이러한것만 보아도 알 수 있지만 신작물의 도입으로 인하여 중국의 경작지는 2배로, 인구는 3배로 증가하였다고 한다.

이 시기 인구 및 신작물의 국제적 이동의 역사적 의의는 단순하게 이주와 교역의 지리적 범위가 확산되었다는 데에 머무르지 않는것 같다. 세계의 각 지역이 어떤 산업의 발달 어떤 작물의 재배에 가장 적합한지에 대한 유럽인들의 판단에 따라 전 세계가 생산의 특화를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한 지역의 생산활동이 다른 지역 수요조건의 변화나 기술변화와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현상이 전 세계적 차원에서 발생하게 된 것이다.

해외탐험과 신항로 개척을 둘러싸고 중국과 유럽이 보였던 태도를 비교해보면 국가의 목표와 정책이 얼마나 큰 역할을 하는지 이해할 수 있었다. 당시의 중국과 서구를 구별지었던 또 하나의 차이는 중국이 단일한 제국을 유지하였던 반면에 유럽은 상호 경쟁하는 여러나라들의 집합체였다는 점에 있다고 생각되었다. 유럽의 각국은 경제적 이권의 확보라는 경쟁에서 앞서기 위하여 다양한 제도적 정책적 혁신을 도입하게 되었고, 이를 통하여 해외개척의 꿈을 품은 수많은 잠재적 탐험가의 열정을 자극하게 되었을 것이다. 앞에서 살펴본 많은 탐험가들의 국적이 탐험을 후원한 국가와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혁신을 이룩하는 현실적인 방법 가운데 하나는 아마 효과적인 유인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특정한 과업을 달성한 사람에게 그에 부합하는 보상이 이루어질 것이라는 믿음이 사회 전체적으로 통용될 때 이 과업이 상대적으로 쉽게 달성되리라는 점은 예상하기 어렵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중국이 애초에 높은 기술력을 더 발전시키거나 유지하지 못하고 신대륙의 발견이 이루어지는 중요한 역사적 시기에 마침내 유럽에게 주도권을 빼앗기게 된 데에는 단일제국으로서 오랜시간 지녀왔던 세계 중심국으로서의 자부심, 중국의 지위를 위협할 만한 경쟁국가의 부재로 인하여 제도적이나 기술적 혁신이 필요하지 않다는 생각을 가진것이 중요한 원인이었던 것 같다. 유럽의 국가들이 다양한 유인체제를 통하여 새로운 무역로 개척과 국부증진을 위하여 전력을 다하고 있는 동안 중국은 개혁과 발전의 동력을 잃고 있었던 것이다.